일반적인 제품 개발 단계 흐름

2025. 4. 8. 15:23개념

반응형

 

✅ 일반적인 제품 개발 단계 흐름

1. PoC (Proof of Concept)

💡 이게 아예 아이디어가 가능한지? 검증하는 실험 수준

  • 기술적으로 가능한지 테스트
  • 사용자용 아님
  • 예: 이 기술로 영상 실시간 처리 가능한가?

2. Prototype (프로토타입)

🎨 디자인 중심, 기능은 최소 혹은 가짜

  • 버튼 누르면 동작하는 척만 하는 경우도 많음
  • UI/UX 검토용으로 자주 사용
  • 사용자 테스트에 활용 가능
  • 예: 피그마, 애드혹 페이지 등

3. MVP (Minimum Viable Product)

🛠 실제 작동하고 사용자 피드백 수집 가능한 초기버전

  • 진짜 유저에게 공개 가능
  • 핵심 기능만 포함 (기획의 본질만 있음)
  • 예: 로그인 + 글쓰기 + 읽기 정도

4. Beta Version (베타버전)

🧪 기능은 다 구현됐지만, 테스트 중

  • 클로즈드 베타: 제한된 사람에게만 공개
  • 오픈 베타: 모든 사용자에게 공개
  • 사용자 피드백을 통해 버그, 개선점 수집

5. Release / GA (General Availability)

🚀 정식 출시 (모두에게 공개)

  • 제품명, 서비스명 확정
  • 마케팅 시작
  • 요금제 등 포함 가능

🔁 정리하면 이렇게도 표현 가능:

단계 설명 초점

PoC 개념 증명 기술 검증
Prototype 디자인 테스트 UI/UX 검토
MVP 최소 작동 제품 시장 피드백
Beta 완성품 테스트 버그 수정 & 안정성 검증
Release 정식 출시 상용화

💡 상황에 따라 생략/병합도 가능!

  • 빠른 스타트업은 PoC + Prototype 생략하고 바로 MVP로 가기도 해
  • 베타 없이 바로 정식 출시하는 경우도 있어

 

 

반응형